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📈 주식 수익률 계산기 사용법 A to Z

by 2022025 2025. 6. 3.

 

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“내가 이 종목으로 수익률이 몇 %야?” 궁금할 때 많죠! 이럴 때 딱 필요한 게 바로 수익률 계산기예요. 간단한 입력만으로

수익률, 수익금, 세후 수익까지 자동 계산

해주니까 투자 계획을 세우는 데도 큰 도움이 돼요. 💹

 

📊 주식 수익률 계산이란?

주식 수익률 계산은 내가 투자한 금액 대비 얼마를 벌었는지(또는 잃었는지)를 퍼센트로 나타내는 거예요. 예를 들어, 100만 원 투자해서 120만 원이 됐다면, 수익률은 +20%가 되는 거죠. 이건 단순한 숫자 계산이 아니라,

내 투자 전략을 점검하고 목표를 세우는 핵심 기준

이에요. 💹

 

수익률 계산이 중요한 이유는 아래와 같아요:

  • 투자 성과를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요.
  • 여러 종목 간 수익률을 비교할 수 있어요.
  • 수수료나 세금 반영 후 실제 수익을 확인할 수 있어요.
  • 목표 수익률 대비 현재 성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.

 

특히 수익률을 모르고 투자하면, 단순 평가 금액만 보고 착각할 수 있어요. 예를 들어, 1000만 원 넣고 1100만 원 됐다고 해도,

중간에 추가매수한 금액

이 있다면 실제 수익률은 +10%가 아닐 수 있거든요. 🧮

📌 수익률 계산 시 필요한 요소

항목 설명 예시
매수 금액 주당 단가 × 매수 수량 50,000원 × 10주 = 500,000원
매도 금액 주당 단가 × 매도 수량 60,000원 × 10주 = 600,000원
총 수익 매도 금액 - 매수 금액 100,000원

 

📐 수익률 계산 공식

수익률 계산은 단순히 “얼마 벌었지?”의 개념을 넘어서

투자의 퍼포먼스를 객관적으로 비교

하는 지표예요. 여기서는 가장 많이 쓰이는 세 가지 수익률 계산 공식을 소개해드릴게요! 🧮

 

1. 기본 수익률 공식

매도금액이 매수금액보다 높을 때 사용하는 단순 수익률이에요.

수익률(%) = (매도금액 - 매수금액) ÷ 매수금액 × 100

예: 500,000원에 매수 → 600,000원에 매도

→ (600,000 - 500,000) ÷ 500,000 × 100 = 20%

 

2. 복리 수익률 (CAGR: 연평균 수익률)

장기 투자에서 연 단위 성장률을 보고 싶을 때 사용하는 공식이에요.

CAGR = (최종금액 ÷ 초기투자금)^(1/연수) - 1

예: 100만 원 투자 → 3년 후 150만 원

→ (1,500,000 ÷ 1,000,000)^(1/3) - 1 = 약 14.47%

 

3. 총 수익률 vs 기간 수익률

단기간 큰 수익보다, 같은 기간 기준으로 얼마나 올랐는지 비교할 수 있어야 해요.

월 단위 수익률로는:

(1 + 수익률)^(12/월수) - 1

같은 방식으로 주 단위, 일 단위도 환산 가능해요.

📊 수익률 계산 비교표

공식 용도 활용 예시
(매도 - 매수) ÷ 매수 × 100 단기 투자 수익 스윙, 단타 수익률 확인
(최종 ÷ 시작)^(1/n) - 1 장기 투자 복리 분석 ETF, 배당주, 장기 우량주
수익률 환산 공식 기간 기준 비교 월 vs 년 환산

 

🧮 계산기 활용 예시

이번에는 실제 숫자를 가지고 수익률 계산기를 어떻게 쓰는지 예시를 통해 보여드릴게요. 너무 복잡할 줄 알았던 계산도, 이 계산기 하나면

딱 몇 초 안에 결과가 나와요

! ⏱️

 

예시 상황 1️⃣

- 매수 가격: 45,000원
- 매도 가격: 52,000원
- 수량: 20주

총 매수금액 = 45,000 × 20 = 900,000원

 

총 매도금액 = 52,000 × 20 = 1,040,000원

👉 수익금: 140,000원 👉 수익률: (140,000 ÷ 900,000) × 100 = 15.55%

 

예시 상황 2️⃣ (손실 계산)

- 매수 가격: 78,000원
- 매도 가격: 70,000원
- 수량: 10주

👉 총 매수: 780,000원 / 총 매도: 700,000원
👉 손실: -80,000원 → 수익률: (-80,000 ÷ 780,000) × 100 = -10.26%

📊 수익률 계산기 입력 예시표

항목 예시 1 예시 2
매수 단가 45,000원 78,000원
매도 단가 52,000원 70,000원
수량 20주 10주
수익률 +15.55% -10.26%

 

👉 계산기에서는 수수료, 세금 포함 항목도 선택 가능하니 더 정확한 실현 수익률까지 확인할 수 있어요!

 

📱 추천 계산기 앱/사이트

수익률 계산을 손으로 매번 하기엔 너무 번거롭죠? 그럴 땐 무료 계산기 앱이나 웹사이트를 활용하면 매수·매도 가격, 수수료, 세금까지 한 번에 자동 계산돼서 편리해요! 🧮

 

1. 네이버 증권 수익률 계산기
국내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웹 기반 계산기예요. 매수단가, 수량, 매도단가 입력만 하면

수익률 + 수익금 자동 계산

돼요. 👉 finance.naver.com

 

2. 키움증권 HTS/MTS
키움 사용자라면

HTS(영웅문)나 MTS(영웅문S)

에서

평균단가, 평가손익, 수익률

이 자동 표시돼요. 직관적인 화면이라 실전 투자자에게 최적이에요!

 

3. 뱅크샐러드 앱
내 계좌 연동 시

전체 포트폴리오 수익률

까지 자동 집계돼요. 투자뿐만 아니라 자산관리 통합 앱이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해요.

🔧 계산기 앱/사이트 비교표

이름 형태 특징 링크
네이버 증권 웹사이트 간편 입력, 즉시 계산 이동
키움증권 MTS 앱/HTS 자동 수익률 표시 설치 필요
뱅크샐러드 모바일 앱 전체 자산 연동 수익률 분석 앱스토어

 

📈 복리 수익률 개념

단순 수익률은 한 번의 투자 결과만 보여줘요. 하지만 복리 수익률, 즉

CAGR(Compound Annual Growth Rate)

여러 해 동안 누적된 성장률을 연 평균으로 나눈 것

이에요. 장기 투자를 할수록 이 지표가 훨씬 중요해져요! ⏳💸

 

📌 CAGR 공식

CAGR = (최종금액 ÷ 시작금액) ^ (1 ÷ 투자연수) - 1

예시: 1,000만 원 → 3년 뒤 1,728만 원 → CAGR = (17,280,000 ÷ 10,000,000) ^ (1/3) - 1 = 20%

이 수치는 매년 20%씩 복리로 불어났다는 의미예요. 단순 수익률은 72.8%지만, CAGR은

기간이 반영된 평균 성장률

이랍니다.

 

📍복리 수익률이 중요한 이유

  • 여러 투자 수단을 기간 기준으로 공정하게 비교할 수 있어요.
  • 장기 투자 시 복리의 위력을 확인할 수 있어요.
  • 목표 자산까지 몇 년 걸릴지 역산할 때도 사용돼요.

📊 복리 수익률 예시 비교표

투자 기간 최종 자산 CAGR (연 수익률) 단순 수익률
3년 1,728만 원 +20% +72.8%
5년 2,488만 원 +20% +148.8%

 

CAGR은 단기 급등보다 꾸준한 성장을 만든 트레이더나 ETF를 평가할 때 꼭 봐야 하는 핵심 지표예요!

 

💵 세금 반영 수익 계산

주식 수익률을 정확히 계산하려면 세금과 수수료를 반영해야 해요. 표면상 수익률은 높지만,

세금 제외 후 실현 수익

은 확 줄어드는 경우가 많거든요. 특히 양도소득세, 증권거래세, 배당소득세는 필수로 고려해야 해요. 💰

 

1. 증권거래세

- 국내 주식 매도 시 부과
- 현재 코스피 0.23%, 코스닥 0.20% 적용
👉 100만 원 매도 시 약 2,300원 세금 발생

 

2. 양도소득세 (대주주 or 해외주식)

- 국내 일반 투자자는 비과세
- 하지만

대주주 요건 해당 시 세금 발생


- 해외주식은 연간 수익 250만 원 초과분에 대해 22% 세금

 

3. 배당소득세

- 배당금 수령 시

15.4% 원천징수


- 예: 10만 원 배당 → 약 15,400원 세금 공제됨

💡 세후 수익 계산 예시

항목 금액 비고
매도금액 1,000,000원 수익 실현 전
증권거래세 (0.23%) -2,300원 국내 코스피 기준
세후 수익금 997,700원 실제 수령 금액

 

해외주식은 연말

연 1회 직접 신고

해야 하고, 양도세 공제액 250만 원을 넘지 않으면 과세되지 않아요.

 

❓ FAQ

Q1. 수익률 계산 시 수수료도 포함해야 하나요?

 

A1. 네, 정확한 수익률을 계산하려면

매수·매도 수수료

거래세, 세금

까지 모두 반영하는 게 좋아요. 특히 단타 매매일수록 수수료 영향이 크답니다!

 

Q2. 복리 수익률은 어떤 경우에 쓰이나요?

 

A2. 장기 투자 성과 비교나, 목표 자산까지 걸리는 기간을 계산할 때 써요. ETF, 연금, 배당주 투자에서 특히 유용해요.

 

Q3. 수익률 계산기는 모바일에서도 쓸 수 있나요?

 

A3. 네! 뱅크샐러드, 네이버 금융, 키움 영웅문S 등 모바일 앱에서 편하게 수익률 확인이 가능해요.

 

Q4. 환율이 바뀌면 해외 주식 수익률도 달라지나요?

 

A4. 맞아요!

환차익 또는 환손

이 수익률에 직접 반영돼요. 따라서 해외주식은 원화 환산 기준으로 수익률을 계산하는 게 정확해요.

 

Q5. 수익률이 마이너스일 땐 어떻게 표시되나요?

 

A5.

-부호

로 표시되며, 이는 원금 손실을 의미해요. 예: 수익률 -15% → 원금 100만 원에서 85만 원으로 하락

 

Q6. 평균 매수가는 어떻게 계산하나요?

 

A6.

(총 매수금액 ÷ 총 수량)

으로 계산해요. 다른 단가로 여러 번 매수했다면 가중 평균단가로 계산해야 해요.

 

Q7. 주식 매도 후 수익금은 바로 출금할 수 있나요?

 

A7. 국내 주식은 매도 후 2영업일(T+2) 후에 실제 현금화돼서 출금할 수 있어요. 해외 주식은 T+3이 일반적이에요.

 

Q8. 수익률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건가요?

 

A8. 꼭 그렇진 않아요!

수익률과 리스크는 함께 고려

해야 해요. 큰 수익에는 큰 손실 가능성도 따른다는 점, 꼭 기억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