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SI(Relative Strength Index, 상대강도지수)는 주가의 과매수·과매도 상태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기술적 지표입니다.
주식, 암호화폐, 선물 등 다양한 금융시장에서 활용되며, 주가가 과열되었는지(고점) 혹은 저평가되었는지(저점) 판단하는 데 유용해요!
이번 글에서는 RSI 지표 개념, 계산법, 실전 활용법을 상세히 알려드릴게요. 🚀
🔎 RSI 지표란?
✅ RSI(Relative Strength Index, 상대강도지수)란?
- 주가의 상승·하락 강도를 비교하여 현재 가격이 과매수(고점)인지, 과매도(저점)인지 분석하는 지표
- 0~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, 일반적으로 70 이상이면 과매수, 30 이하이면 과매도 상태로 판단
✅ RSI 기본 원칙
- RSI 70 이상 → 과매수 구간, 하락 가능성 증가 📉
- RSI 30 이하 → 과매도 구간, 상승 가능성 증가 📈
- RSI 50 기준 → 상승·하락 균형 상태
💡 단순히 RSI 숫자만 보고 매매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요!
👉 반드시 추세, 거래량, 다른 보조지표와 함께 활용해야 합니다.
📌 RSI 계산 방법
RSI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.
📌 RSI 공식
RSI = 100 - [100 / (1 + RS)]
RS = (N일 동안의 평균 상승폭) / (N일 동안의 평균 하락폭)
- 일반적으로 14일 기준으로 계산
- 최근 14일간의 평균 상승폭과 하락폭을 비교하여 RSI 값을 도출
✅ 쉽게 이해하는 방법
- 최근 14일간 상승이 많으면 RSI 값이 높아짐 → 과매수 신호
- 최근 14일간 하락이 많으면 RSI 값이 낮아짐 → 과매도 신호
💡 주식 차트에서 RSI는 자동 계산되므로, 직접 계산할 필요는 없어요!
👉 트레이딩뷰, 키움증권 HTS/MTS, 증권사 앱에서 쉽게 확인 가능
📊 RSI 실전 활용법
✅ 1. 과매수·과매도 매매 전략
- RSI 70 이상 (과매수) → 상승세가 과열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→ 매도 신호 📉
- RSI 30 이하 (과매도) → 하락세가 과도할 가능성이 높음 → 매수 신호 📈
✅ 예시
- RSI 80 근처 → 주가가 급등 후 조정 가능성 → 일부 매도 고려
- RSI 20 근처 → 주가가 급락 후 반등 가능성 → 분할 매수 고려
📌 주의할 점:
👉 RSI 70 이상이라고 무조건 하락하는 것이 아니며, 강한 상승장에서 계속 오를 수도 있음!
👉 반대로, RSI 30 이하라고 무조건 반등하는 것이 아니라, 하락 추세가 지속될 수도 있음!
✅ 2. 다이버전스(Divergence) 활용
RSI와 주가 흐름이 반대로 움직이면 추세 전환 가능성이 큼
🔹 강세 다이버전스 (매수 신호)
- 주가는 하락하는데, RSI는 상승 → 하락 둔화 → 상승 전환 가능성 📈
🔹 약세 다이버전스 (매도 신호)
- 주가는 상승하는데, RSI는 하락 → 상승 둔화 → 하락 전환 가능성 📉
✅ 예시
- 주가가 계속 하락하는데 RSI는 점점 높아지면? → 반등 가능성이 큼
- 주가가 계속 상승하는데 RSI는 점점 낮아지면? → 하락 가능성이 큼
📌 Tip:
👉 다이버전스는 단독 신호로 매매하기보다는 추세선, 거래량 분석과 함께 활용하면 정확도 UP!
✅ 3. RSI 50선 돌파 여부 체크
- RSI 50 이상 돌파 → 상승 추세 가능성 📈
- RSI 50 이하 이탈 → 하락 추세 가능성 📉
✅ 예시
- RSI가 50 아래에서 움직이다가 50을 돌파하면 상승 전환 신호
- 반대로 RSI가 50 이상에서 움직이다가 50 아래로 내려가면 하락 신호
📌 추세 확인용으로 유용! RSI 50선을 기준으로 상승·하락 흐름을 체크할 수 있음.
🔥 RSI + 다른 보조지표 조합
RSI는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 다른 기술적 지표와 함께 보면 정확도가 올라갑니다.
✅ RSI + 이동평균선(MA) 조합
- RSI가 30 이하(과매도)인데, 이동평균선 지지선 근처라면? → 반등 가능성 ↑
- RSI가 70 이상(과매수)인데, 이동평균선 저항선 근처라면? → 하락 가능성 ↑
✅ RSI + 거래량 분석
- RSI가 30 이하인데, 거래량이 급증하면 바닥 다지기 후 반등 가능성 📈
- RSI가 70 이상인데, 거래량이 감소하면 고점 형성 후 하락 가능성 📉
✅ RSI + MACD(추세 지표)
- RSI가 과매도(30 이하) + MACD 골든크로스 발생 → 강한 매수 신호
- RSI가 과매수(70 이상) + MACD 데드크로스 발생 → 강한 매도 신호
📌 Tip: RSI가 과매수·과매도 구간에 있더라도, 추세가 강할 경우 지속될 수 있음
👉 거래량, 이동평균선, MACD와 함께 분석하면 정확도 UP!
❓ 자주 묻는 질문(FAQ)
1️⃣ RSI는 몇 일 기준으로 보는 것이 좋나요?
👉 일반적으로 14일(기본값)을 사용하지만,
👉 단기 매매는 7
10일, 장기 투자는 20
30일 기준으로 볼 수도 있어요.
2️⃣ RSI 70 이상이면 무조건 매도해야 하나요?
👉 아닙니다. 강한 상승장에서 RSI가 80~90까지 올라갈 수도 있음
👉 반드시 거래량, 이동평균선, 추세 분석과 함께 활용해야 합니다.
3️⃣ RSI 다이버전스는 신뢰도가 높은가요?
👉 RSI 다이버전스는 강한 추세 반전 신호이지만, 단독으로 신뢰하기보다는
👉 캔들 패턴, 거래량 증가, 주요 지지·저항선과 함께 확인하면 더 정확해요!
4️⃣ RSI 30 이하이면 무조건 반등하나요?
👉 아닙니다. 하락장이 강하면 RSI가 30 아래에서 더 떨어질 수도 있어요.
👉 추세 확인 후 매수 타이밍을 잡는 것이 중요!